숫자를 히라가나로 읽는 방법은 매우 사용이 많이 되죠
특히 상점이나 가게, 등등의 전화번호를 쉽게 기억하도록. 많이 사용됩니다.
한국에서 8282를 빨리빨리로 하는것처럼요
가장 유명한 예가
4649로 쓰고 よろしく(요로시쿠:잘부탁합니다의 뜻) 로 읽는 방법입니다
그리고
2951이라고 쓰고 ふくこい(福来い:복이여 와라)
1104라고 쓰고 いいとし(いい年:좋은해(가 되기를)) .
889-9191라고 쓰고 はやくこいこい(早く来い来い:빨리 와라!와라!)
710이라고 쓰고 納豆(なっとう:일본청국장)입니다.
(친구녀석이 자기 생일이 7월10일이라며 "納豆の日"라더군요)
이외에도 수많은 예가 있습니다만 다 드는것은 무리한 일이겠죠
여기서는 그 기본이 되는 방법을 말해보려합니다.
숫자는 읽는 방법이 참 많습니다.. 기수와 서수가 바로 그것이죠..
이러한 각 숫자의 읽는 방법의 첫 글자 혹은 그 전체글자를 따서 일본어의 단어나
문장을 구성하게 됩니다.
아래에는 그 첫글자를 읽는 방법을 주로 하였습니다.
기수를 히라가나로 읽기(단 첫글자로만 읽었을경우)
1 いち -> い (이)
2 に -> に (니)
3 さん -> さ (사), さん(산)
4 し(よ、よん)-> し(시) ,よ(요)、よん(욘)
5 ご -> ご(고) ,こ(코)
6 ろく -> ろ(로)
7 しち(なな) -> し(시),な(나)
8 はち -> は(하)
9 きゅう -> きゅう(큐), く(쿠)
0 れい -> れ(레)
서수를 히라가나로 읽기 (단 첫글자로만 읽었을경우)
1 ひとつ -> ひ (히)
2 ふたつ -> ふ (후)
3 みっつ -> み (미)
4 よっつ -> よ (요)
5 いつつ -> い (이)
6 むっつ -> む (무)
7 ななつ -> な (나)
8 やっつ -> や (야)
9 ここのつ -> こ (코)
0 とお -> と (토), とお(토오)
이렇게 읽는것이 기본방법입니다.
이것만으로도 읽본어 50음도중에서 약 20개의 음을 표현가능합니다.
그러나 이러한 방법많이 있는건 아닙니다.
여기에 수많은 다른 방법도 들어간답니다.
예를 들어
0 의 경우
동그란 형태를 뜻하는 "まる"에서 ま(마)로 읽을수도 있고
동그라미를 뜻하는 わ에서 わ(와)로 읽을 수도 있죠
그리고 영어의 O처럼 お(오)로 읽을수도있습니다.
2도 "니""후"의 음도 있겠지만
"다음", "두번째"를 의미하는 次(つぎ)
그리고 영어의 two 를 일본어로는 ツー(츠-)라고 하므로
양쪽에서 つ(츠) 라는 음이 올수도있죠....
이처럼 쓰인 예는
만화 마호로매틱에서 보면 370으로 미나와라는 이름을쓰고
케로로 중사에선 623이라고 쓰고 무츠미라고 읽는다고 합니다.
370은
3 -> みっつ등에서 보이듯이 み로 읽을수있고
7 -> なな로 읽듯이 な로 읽을수 있고
0 -> れい에서 れ로 읽거나 하는데 이 경우는 輪(わ:와)에서 온듯.. "동그라미" 라는 뜻입니다. 0을 동그라미로 본..
그래서 みなわ겠죠
623은
6 -> むっつ에서 む로 읽고
2 -> 보통ふたつ,に에서 ふ,に로 읽는 데 이 경우는 つぎ("다음"의 의미로 보고 つ)
혹은 ツー(two)에서 つ로 읽음.
3 -> みっつ에서 み로 읽고
그래서 むつみ겠죠
생일,전화번호등 특정한 번호를 외우거나
상대에게 인식시킬때 매우 좋은 방법이라 생각됩니다.
CM등에서 보셔도 매우 자주 나오니
일본어 배우시는 분이라면 상식적으로 알아두시는 것도 좋을듯합니다.